가상 화폐, 주식 투자

주린이를 위한 예수금 & 정산금액 개념 정리 – 매도 후 언제 인출 가능할까?

리얼에스테이트s 2025. 4. 14. 09:47
반응형

주식을 매도했는데 예수금이 바로 출금되지 않는 이유, D+2 정산금액과 예수금잔액의 차이, 정산금액에 (-)로 표시된 금액이 의미하는 것에 대해 헷갈릴 수 있습니다.

매도 후 2일이 지났는데 예수금 인출이 안 되는 이유는?
D+2 예수금과 예수금 잔액의 차이점은?
정산금액이 마이너스(-)로 표시되는 이유는?

이번 글에서는 초보 투자자가 이해하기 쉬운 예수금 개념과 정산 과정, 인출 가능 시점을 정리해보겠습니다. 🚀


🔎 주식 거래에서 "예수금"이란?

예수금계좌 내에서 주식 매매를 할 수 있는 현금 금액을 의미합니다.
하지만 예수금이 있다고 해서 바로 인출이 가능한 것은 아닙니다.

📌 예수금 관련 주요 개념
D+0 (거래 당일) 예수금: 매도한 당일, 즉시 표시되지만 실제 인출은 불가능
D+2 예수금: 매도 대금이 정산되어 실제로 인출할 수 있는 금액
출금 가능 금액: D+2가 지나서 실제 출금이 가능한 금액

📌 즉, 주식을 매도해도 바로 돈을 찾을 수 있는 것이 아니라, D+2일이 지나야 정산이 완료되어 인출할 수 있습니다.


📌 Q1. 2/14일 78,000원 매도 → 언제 입금되고 언제 인출 가능할까?

한국 주식시장에서는 매도 후 정산까지 영업일 기준 D+2일이 소요됩니다.

  • D+0 (2/14, 수요일) → 주식 매도
  • D+1 (2/15, 목요일) → 매도 대금이 예수금에 반영 (인출 불가)
  • D+2 (2/16, 금요일) → 실제 정산 완료, 인출 가능

📌 즉, 2/14(수)에 매도한 주식의 대금은 2/16(금)부터 인출할 수 있습니다.
📌 주말(토·일)이 끼면 영업일 기준으로 계산해야 하므로 실제 인출 가능일이 밀릴 수 있음

출금 가능 시간:

  • 보통 정산 완료는 영업일 기준 D+2일 오전 9시 이후
  • 증권사에 따라 인출 가능 시간이 다를 수 있음

📌 Q2. D+2 예수금은 언제부터 인출이 가능할까?

📌 D+2 예수금이 표시되었다면, 다음 영업일부터 인출이 가능합니다.
📌 단, 영업일 기준이므로 주말이 끼면 다음 영업일까지 기다려야 합니다.

예제:

  • D+0 (수요일) 매도 → D+2 (금요일) 예수금 표시 → 다음 주 월요일부터 인출 가능
  • D+0 (금요일) 매도 → D+2 (다음 주 화요일) 예수금 표시 → 수요일부터 인출 가능

📌 증권사에 따라 출금 가능 시간 차이가 있을 수 있으므로, 고객센터에서 확인 필요


📌 Q3. D+2 예수금과 예수금 잔액의 차이는?

D+2 예수금: 매도한 금액이 정산되었지만, 아직 출금되지 않은 금액
예수금 잔액: 실제로 매매할 수 있는 자금 (D+2 정산 완료 후 반영됨)

📌 차이가 발생하는 이유:

  • 예수금에는 매도 금액 외에도 미수금, 수수료, 세금, 자동 출금 예정 금액 등이 반영될 수 있음
  • 일부 증권사는 예수금과 실제 사용 가능한 예수금을 다르게 표시하기도 함

결론:

  • D+2 예수금은 정산이 완료된 매도 금액이지만, 출금 가능 여부와는 다를 수 있음
  • 예수금 잔액은 실제로 거래 가능한 금액을 의미

📌 Q4. 정산금액이 (-)로 표시되는 이유는?

정산금액이 마이너스(-)로 표시되는 경우는 주로 다음과 같은 이유 때문입니다.

1️⃣ 매도 후 세금 및 수수료 공제

  • 주식을 매도하면 거래 수수료 + 증권거래세가 자동으로 차감됩니다.
  • 이 차감 금액이 **정산금액(-)**으로 표시될 수 있음.

📌 예제:

  • 주식 매도 대금: 100만 원
  • 거래 수수료: 2,000원
  • 증권거래세: 3,000원
  • 정산금액 = 100만 원 - (2,000원 + 3,000원) = 99만 5,000원

즉, 정산금액에 (-)가 붙어 있다고 해서 미수금이 아니라, 차감된 금액이 표시된 것입니다.


2️⃣ 미수금 발생 (매수 후 결제 대금 부족)

  • 만약 매수를 할 때 증거금 부족으로 인해 일부 미수금이 발생한 경우, 정산금액에서 차감될 수 있음.
  • 즉, 매도 대금에서 미수금을 먼저 상환하고 남은 금액이 정산됨.

📌 예제:

  • 매수 시 미수금 발생: -50,000원
  • 매도 후 정산금액: 100,000원
  • 정산 후 최종 금액: 100,000원 - 50,000원 = 50,000원

즉, (-)로 표시된 정산금액이 반드시 갚아야 할 금액은 아니며, 미수금이 있다면 자동으로 상계 처리됩니다.


🚀 결론: 주식 예수금 & 정산금액 완벽 정리

1️⃣ 매도 후 예수금 입금 & 인출 가능일

  • D+2일 오전 9시 이후 인출 가능
  • 주말이 끼면 영업일 기준으로 계산 필요

2️⃣ D+2 예수금 vs 예수금 잔액 차이

  • D+2 예수금: 매도 대금 정산 금액
  • 예수금 잔액: 실제로 거래할 수 있는 금액 (수수료, 세금 등 반영)

3️⃣ 정산금액이 (-)로 표시되는 이유

  • 거래 수수료 & 증권거래세 자동 차감
  • 미수금이 있는 경우 매도 대금에서 자동 상계 처리

4️⃣ 예수금을 인출하려면?

  • D+2가 지나야 인출 가능 (정산 완료 후 출금 가능)
  • 출금 가능 시간이 증권사마다 다를 수 있으므로 확인 필요

📌 이 가이드를 참고하면 예수금과 정산금액을 이해하고, 주식 매도 후 인출 가능 시점을 정확히 알 수 있습니다! 🚀

반응형